소스트리2 git study note (6) - git work flow 깃 워크플로우 - 3(실습1) 아래 내용은 얄코 프로그래밍 인플루언서 학습사이트를 따라하고 독학하며 기록을 남긴 것임을 밝힙니다. https://www.yalco.kr/ - yalco라는 폴더 내에서 git init을 하고 아래와 같은 yaml파일 2개를 생성하였다. (각 파일당 8줄짜리) - 여기서 깃배쉬의 git status를 확인해본다면? 그리고 또 소스트리의 상황은? - git add로 두 파일 모두를 staging area에 옮기기? - git commit으로 staging에 있는 두 개 파일 깃 레파지토리로 옮기기 - 커밋 후 변경사항 발생!lions 파일 완전 삭제. tigers 내용 중 manager를 Donald로 변경. leopard란 신규파일 추가 - git diff를 보면 코멘드 윈도우 창에서 불편하게 변경사항을.. 2022. 3. 16. git study note (2) - 깃 git 사용 방법 - 설치 및 세팅하기 설치 할 것: 1. 깃 2. 소스트리 3. Visual Studio Code 깃을 배우고 쓰려면 무엇을 설치해야 할까? 깃은 명령어를 기본으로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터미널에서 코멘드를 쳐가며 배워야지 깃을 제대로 익힐 수 있다. (CLI) 물론 GUI 도 유용하다. 깃을 제대로 배워보면 알겠지만, 파일 상태를 시각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. unstaging area ↔ staging area ↔ git repository를 파일이 넘나들고, branch & merge 과정이 빈번하기 때문이다. 터미널 창에서 CLI로만 하기엔 내가 지금까지 어떠한 파일을 어떻게 수정해왔는지 머릿속에 잘 안그려지니까... 그래도 코맨드창에서 순수 명령어를 하는 것보다는 기능이 적다는 것을 참고. 하지만 아무 GUI나 설치하지.. 2022. 3. 15. 이전 1 다음